• 홈
  • 로그인
  • 회원가입
  • 아이디/비밀번호찾기
  • 대한보건의료정보관리사협회 홈페이지 바로가기
  • 캐시삭제

대한보건의료정보관리사협회 로고

  • 협회 소개
  • 온라인 교육 신청
  • 자료실
  • 나의 학습방
  • 학습지원
검색

로그인 해 주세요
  • 협회 소개
    • 인사말
    • 찾아오시는 길
  • 온라인 교육 신청
    • 전체보기
    • 필수과목(상시)
      • 데이터 산업시대의 보건의료데이터 관리 전략 및 역할(86차)
      • 진료협력업무 수행에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(85차)
      • 표준전쟁 - 보건의료 표준과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(85차)
      • 중소병원의 개인정보 보호(72차춘계)
      • 중소병원의 의료분쟁 예방 및 관리(74차춘계)
      • 올바른 개인정보 보호 4차 산업 시대 개인정보 비식별화 이해(83차 추계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임무와 역할(80차춘계)
      • 전자의무기록 작성 능력 향상을 위한 의료진 교육용 개발 사례(81차추계)
      •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정정 관리(80차춘계)
      • 보건복지부 최근 유권해석 설명(79차추계)
      • 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인증에서 의무기록사의 역할(79차추계)
      • 신종 감염병에서 긴급 의무기록조사의 필요성과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(84차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 관리에서의 HIM의 역할 정립을 위한 협회 정책(84차)
      • 보건의료 데이터 관리를 위한 HIM의 방법론-보건의료 데이터 거버넌스(84차)
      • 데이터 리터러시와 보건의료정보 거버넌스(84차)
      • 의료질평가 대비 입원시 상병(POA) 질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(84차)
      • 3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 개정내용(84차)
      • 대한보건의료정보관리사협회 관점의 보건의료데이터 관리 전략(84차)
      • 개정 개인정보보호법 관리적 보호를 위한 체크업 포인트(88차추계)
      •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내용과 의료기관 조사 처분사례 소개(89차 춘계)(필수)
      • LMM시대의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 및 교육방안(90차 추계)(필수)
      • 의료환경 변화에 따른 의무기록작성 및 완결도 관리방안(90차 추계)(필수)
      • [면허신고 대상 기간 동안 1평점만 인정] 무료 필수과목 묶음 강의
    • 국제질병분류(ICD)(상시)
      • ICD-11 FT 결과와 팀원 역량 개발 방향(2022)
      • ICD-11 2022 개요 및 이행역량 강화(2022)
      •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11th Coding Case - Part 2(86차)
      •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11th Coding Case - Part 1(86차)
      • ICD-11 구조분석(86차)
      • ICD-11 개론 & 개발현황(86차)
      • ICD-11 2022 개요 및 이행 준비(86차)
      • ICD-11 개론 & Extension Codes(87차춘계)
      • 국외동향 : ICD-11 적용 분야 및 도입 준비(87차춘계)
      • ICD-11 장별 탐색 : 1장~12장(87차춘계)
      • ICD-11 장별 탐색 : 13장~26장(87차춘계)
      • ICD-11 분류 이슈와 국내 적용 과제(89차 춘계)
      • ICD-11 도입 로드맵 및 참조가이드 고도화 방향 수립과 의견수렴(90차 추계)
    • 사본발급(상시)
      • 의무기록 사본발급 질의 응답 사례(2012)
    • 신포괄수가제(상시)
      • 신포괄 비뇨기계 감염 진단코딩(86차)
      • (신포괄수가제하에서) 당뇨병의 질병분류 실무(85차)
      • 신포괄수가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행태 요인 분석 - 내과 입원환자 중심으로(85차)
      • 신포괄수가제에서의 POA 질관리 프로세스(84차)
      • 진료비 사후관리(2019)
      • 보험심사 청구 실무 외과계 편(2019)
      • 보험심사 청구 실무 NS 척추 편(2019)
      • 보험심사 청구 실무 내과계 편(2019)
      • 보험심사 청구 실무 DRG 기본 및 주요 사례(2019)
      • 신포괄 CDI 사례(2019)
      • 신포괄 시범사업에서 우리의 역할 및 사례 중심(2019)
      • 보험심사 청구 실무 OS 편(2019)
      • 신포괄수가제 기초이론(2019)
      • 행위별수가제 기초이론(2019)
      • 신포괄 진단 코딩(2019)
      • 보험심사 청구 실무(Fee-for-service편)(2019)
      • 신포괄 청구 및 코딩 실무(2019)
      • 건강보험 진료비 청구 기초(2019)
      • 신포괄수가제 진단 코딩 실무(2018)
      • 신포괄수가제도에서 의무기록관리(2018)
      • 신포괄수가제 진단 코딩 관련 의료진과의 소통(2018)
      • 신포괄수가제 진단 청구(2018)
      • 신포괄 정보화 가산평가와 직무변화(75차추계)
      • 신포괄지불제 기본과정 - 신포괄지불제의 개념 및 진단코딩 원칙(78차춘계)
      • 신포괄업무매뉴얼과 활동비율(80차춘계)
      • 신포괄 업무 흐름 및 의무기록관리 사례(2018)
    • 실무자를 위한 ICT 교육과정
      • R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분석(2022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 연구방법론(2022)
      •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관리(2022)
      • 보건의료 GIS(2022)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관리(실습)(2022)
      • 최신 보건의료정보기술(이론)(2022)
      • ICT시대의 보건의료정보관리의 방향(2022)
    • 암등록 이론 및 실습(상시)
      • ICD-O-3 2nd 변경에 따른 암등록 실무(II)(2022)
      • ICD-O-3 2nd 변경에 따른 암등록 실무(I)(2022)
      • 암등록 대상(2021)
      • 암전문가 인정시험 결과보고(83차 추계)
      • 데이터 분석과 해석 2강(2019)
      • 데이터 분석과 해석(2019)
      • Cancer Stage 2 - 장기별 summary stage와 예제 2 (brain, liver 외)(2019)
      • Cancer Stage 2 - 장기별 summary stage와 예제 1 (lymphoma 외)(2019)
      • Cancer Stage 2 - 장기별 summary stage와 예제(2019)
      • Cancer Stage 1 - Stage 이론(2019)
      • 암등록 전문가 인정시험 대비 - 예제풀이(81차추계)
      • 암등록 사업의 이해(2018)
      • 암등록 대상(2018)
      • 암등록 주요항목 및 다빈도 오류 사례(2023)
      • 암역학과 암등록 통계(2023)
      • 암등록에 유용한 임상지식-방광암(89차춘계)
      • 암등록에 유용한 임상지식-피부암(89차 춘계)
      • 암등록에 유용한 임상지식-뇌종양(89차 춘계)
      • 신장 종양 임상지식(2024)
      • 전립선 종양 임상지식(2024)
    • 외부 평가 및 인증조사(상시)
      • 응급의료기관 평가와 건강보험수가 평가지표 관리 방향(2022)
      • 적정성 평가와 입원 시 상병정보(85차)
      • 의료질평가 대비 입원시 상병(POA) 질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(84차)
      • 3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 개정내용(84차)
      • POA 분류 실무(82차춘계)
      • 행위별수가제하에서의 POA 적용 사례(80차춘계)
      • 의료질평가 지표관리를 위한 정보분석 및 관리방안(80차춘계)
      • 개인정보의 외부평가 대응 및 활동사례(77차추계)
      • 신포괄 정보화 가산평가와 직무변화(75차추계)
      • 적정성 평가에서의 효율적인 의무기록 관리 방안(73차추계)
      • 적정성 평가에서 표준화 사망률 산출 방법(73차추계)
      •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기본개요 및 이해(2013)
      • 입원 시 상병(POA) 코딩 사례
      • 입원시 상병(POA) 분류에 대한 임상의사 등 이해관계자 관점 이해(87차춘계)
      • 입원 시 상병 정확도 향상 방안(87차춘계)
    • 의료인공지능(상시)
      • 병원에서 ChatGPT의 효율적 활용방안(2023)
      • 1-1 의료인공지능 활용 개론(2023)
      • 1-2 인공지능 및 딥러닝의 개념(2023)
      • 1-3 의료 분야의 초거대 AI의 현황 및 활용 분야(1)(2023)
      • 1-4 의료 분야의 초거대 AI의 현황 및 활용 분야(2)(2023)
      • 1-5 데이터 라벨링(2023)
      • 1-6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평가(2023)
      • 1-7 프롬프트 엔지니어링(2023)
      • 2-1 ChatGPT를 이용한 엑셀(1)(2023)
      • 2-2 ChatGPT를 이용한 엑셀(2)(2023)
      • 2-3 ChatGPT를 이용한 엑셀(3)(2023)
      • 2-4 ChatGPT를 이용한 파워포인트(1)(2023)
      • 2-5 ChatGPT를 이용한 파워포인트(2)(2023)
      • 2-6 ChatGPT를 이용한 그림 관리(2023)
      • 2-7 ChatGPT를 이용한 동영상 관리(2023)
      • 2-8 ChatGPT를 이용한 글쓰기(1)(2023)
      • 2-9 ChatGPT를 이용한 글쓰기(2)(2023)
      • 2-10 ChatGPT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(1)(2023)
      • 2-11 ChatGPT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(2)(2023)
      • 3-1 보건의료현장에서 설명가능한 인공지능의 응용과 동향(2023)
      • 3-2 ChatGPT와 Hyper CLOVA를 활용한 데이터셋 파인튜닝(2023)
      • 4-1 ChatGPT를 이용한 파이썬 활용 - 파이썬 시작하기(2023)
      • 4-2 ChatGPT를 이용한 파이썬 활용 - 데이터 핸들링1(2023)
      • 4-3 ChatGPT를 이용한 파이썬 활용 - 데이터 핸들링2(2023)
      • 4-4 ChatGPT를 이용한 파이썬 활용 - 데이터 핸들링3(2023)
      • 4-5 ChatGPT를 이용한 서비스 개발 입문 - Google Colab 입문(2023)
      • 4-6 ChatGPT를 이용한 서비스 개발 입문 - ChatGPT의 첫걸음(2023)
      • 4-7 ChatGPT를 이용한 서비스 개발 입문 - ChatGPT API 활용(2023)
      • 4-8 ChatGPT를 이용한 서비스 개발 입문 - ChatGPT와 Fine-tuning(2023)
      • 5-1 Chatgpt 활용을 위한 AI 기반 의료서비스 개발 방법론(2023)
      • ChatGPT를 활용한 Jamovi 통계 프로그램 이용 병원통계 활용(88차추계)
      • 의료서비스에서의 AI 기술 동향과 의료데이터 관리(89차 춘계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 플랫폼 플레이를 통한 생성형 AI 적용(89차 춘계)
    • 의료정보관리(상시)
      • 경영지원 및 조직 관리를 위한 EMR의 기준정보 관리(2022)
      • 2022년 개인정보 보호법 주요 개정내용(2022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데이터산업 진출 전략 밎 로드맵(86차)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의 바람직한 활용 방안(86차)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산업시대의 협회의 역할(86차)
      • 데이터 산업 동향 및 정책 현황(86차)
      • 의료기관 직무 시뮬레이션 사례 -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(85차)
      • 의무기록 정의 및 관리 방안(85차)
      • Data Driven Healthcare의 국내 적용의 과제 - 진료정보교류를 중심으로(85차)
      • Data Driven Healthcare의 개요(85차)
      • 헬스케어 혁신과 보건의료데이터의 활용의 현재와 미래(85차)
      • 응급의료평가 NEDIS 전송 항목(의무기록 작성 및 진단명)(2021)
      • 디지털 뉴딜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그리고 영상을 통화 치유(84차)
      • HIRA e-Form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한 의무기록 서식 및 의료기관 수집 데이터 셋 개선 사례(84차)
      • 보건의료정책의 방향과 보건의료정보화(84차)
      • Orange Data Mining Tool을 이용한 보건의료정보 데이터분석방법(83차 추계)
      • 올바른 개인정보 보호 4차 산업 시대 개인정보 비식별화 이해(83차 추계)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요구 변화와 보건의료정보관리 방안(82차춘계)
      • 엑셀을 이용한 보건의료 통계 분석 및 시각화 실무(82차춘계)
      • 의료정보시스템 구조(Architecture)(82차춘계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 분야 전문인력 수요전망과 인력양성 방안(81차추계)
      • 전자의무기록 작성 능력 향상을 위한 의료진 교육용 개발 사례(81차추계)
      • CCM(Clinical contents model) 소개(81차추계)
      • 수정/정정 의무기록 사본발급 관리 방안(81차추계)
      • EPIANALYSIS를 이용한 기초통계(80차춘계)
      •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이론(80차춘계)
      •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정정 관리(80차춘계)
      • 중증도 보정 표준화 사망비 재입원비 지표 관리방안(80차춘계)
      • 신포괄업무매뉴얼과 활동비율(80차춘계)
      • 보건복지부 최근 유권해석 설명(79차추계)
      • 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인증에서 의무기록사의 역할(79차추계)
      • HIS를 활용한 근거 기반의 업무성과 공유 방안(78차춘계)
      • 임상 근거에 입각한 주진단 선정을 통한 중증도 그룹 모니터링(78차춘계)
      • Information Governance(77차추계)
      • 의료정보관리사-변화의 필요성과 과제(77차추계)
      • 4차 산업혁명시대의 보건정보관리학의 발전방안(77차추계)
      • 국제 동향으로 살펴본 의무기록정보관리의 미래(77차추계)
      • 손상 중증도 분류체계 도입을 통한 의무기록사 역량 강화(76차춘계)
      • 진단코드 질관리 방안(76차춘계)
      • e-health 시대의 의료정보관리(76차춘계)
      • 의무기록사의 미래 직무 변화 예측과 발전 전략(75차추계)
      • 원격의료 동향과 의무기록사의 역할(73차추계)
      • 임상콘텐츠모델(CCM)의 현장적용 및 활용방안(72차춘계)
      • DRG와 의무기록 질 관리(72차춘계)
      • 의무기록사의 의료기관 경영관리 지원 사례(73차추계)
      • 건강보험 빅데이터 의의 및 보건정보관리자의 역할(73차추계)
      • 세브란스병원 표준용어관리시스템 구축 현황(87차춘계)
      • 오픈소스 Jamovi를 이용한 병원통계 분석 및 시각화(87차춘계)
      • 가까운 미래에 펼쳐질 디지털 헬스의 모습(87차춘계)
      • 음성인식 간호기록 Vobile ENR(87차춘계)
      • 개념설계를 지원하는 코딩과 분류 -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의 시작(87차춘계)
      • 응급의료기관 평가 개정 사항 및 의무기록 작성관리 방안(2023)
      • 의무기록 작성 및 관리정책 의사결정 지원(간호기록 부문)(2023)
      • AI 및 IT를 활용한 보건의료정보관리 국외 동향(2023)
      • 정밀의료 데이터 표준과 품질관리에서 데이터 큐레이션이 미래다(88차추계)
      • HIM의 디지털 전환 - 보건의료데이터 큐레이션 역량 강화(88차추계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(89차춘계)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비식별화의 기술적 문제들(89차 춘계)
      • 디지털전환시대 의료서비스최적화 방안(89차 춘계)
      • SNOMED CT use case 개발 연구(89차 춘계)
      • 데이터 연계 및 데이터 활용지원 업무사례
      • 시티즌 데이터사이언티스트와 보건의료정보관리사(90차 추계)
      • 정해진 미래, 데이터 주도 의료(90차 추계)
    • 임상역학조사(상시)
      • 일 병원의 COVID-2019 임상 역학조사 제공 사례(84차)
    • 중소요양병원(상시)
      • 2022년(2주기 4차)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평가 세부계획(2022)
      • 2021년 2주기 3차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 세부계획(2021)
      • 요양병원 수가제도와 청구방법(82차춘계)
      • 중소병원의 신포괄수가제 도입에 따른 대응전략(82차춘계)
      • 민간보험회사에서의 의무기록사 역할 및 전망(79차추계)
      • 중소병원 원무 관리와 의무기록사의 업무 방향(79차추계)
      • 요양병원 2주기 인증평가 준비와 의무기록 사본 발급 시 유의사항(79차추계)
      • 중소병원 업무관련 주요 질의응답 사례(78차춘계)
      • 요양병원에서의 의무기록사의 역할(78차춘계)
      • 청구 질병코드 모니터링 지표 운영과 중소병원 적용 방안(76차춘계)
      • 중소요양병원의 의무기록 서식 관리(76차춘계)
      • 2015년 요양병원 적정성평가 이해 및 준비(75차추계)
      • 중소병원의 의료분쟁 예방 및 관리(74차춘계)
      • 전자서명과 이미지서명의 법률적 근거 및 적용(74차춘계)
      • 진료기록 사본발급과 정정관리 실무(74차춘계)
      • 동의서의 이해와 개발 시 고려사항(74차춘계)
      • 주민등록번호 수집제한에 따른 중소병원 업무의 이슈와 대응방안(73차추계)
      • 감염병 신고 누락 방지를 위한 진단검사 결과의 활용(73차추계)
      • 요양병원 차등제 적용 기준과 환자평가표 관련 의무기록 관리(73차추계)
      • 요양병원 건강보험 청구와 의무기록 정보관리 실무(72차춘계)
      • 요양병원 의료기관 인증평가 기획과 사례(72차춘계)
      • 중소병원의 개인정보 보호(72차춘계)
      • 중소병원에 적합한 의무기록 서식 제.개정 및 위원회 활동(72차춘계)
      • 중소병원 요양병원 인증평가(72차춘계)
      • 요양병원 3주기 인증평가 준비(87차춘계)
      • 요양병원 인증의 진료정보(의료정보/의무기록)관리(89차 춘계)
    • 직업 기초 및 윤리(상시)
      • 성희롱, 성폭력 등 예방 교육 (2019)
      • 대한의무기록협회 역사(80차춘계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임무와 역할(80차춘계)
    • 질병 및 시술분류(상시)
      • 단계별 교육(2014년 심화)
        • CDI 사례Ⅰ(74차춘계)
        • CDI 사례 Ⅱ(74차춘계)
        • CDI 사례 Ⅲ(74차춘계)
        • CDI 사례 Ⅳ(74차춘계)
        • 급성 악화를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천식의 질병코딩 및 POA 분류(89차 춘계)
      • 단계별 교육(2014년 중급)
        • 제14장 비뇨생식계통의 질환(N30-N39/N60-N99)비뇨생식계통의 기타질환 및 시술분류 사례(73차추계)
        • 제9장 순환계통의 질환(I00~I52) 허혈성심장 및 시술분류 사례(73차추계)
        • 제9장 순환계통의 질환(I60~I99) 뇌혈관질환 및 시술분류 사례(73차추계)
        • 제4장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(E00~E90) 갑상선 질환 및 시술분류 사례(73차추계)
      • 단계별 교육(2014년 기본)
        • 제14장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(N30~N39/N60~N64)
        • 제14장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(N00~N29)
        • 제9장 순환계통의 질환 (I60~I99)
        • 제9장 순환계통의 질환 (I00~I52)
        • 제4장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(E00~E90)
      • 단계별 교육(2013년 중급)
        •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(External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)(72차 춘계)
        • 호흡기계 질환
      • 단계별 교육(2013년 기본)
        •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분류 지침
        •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(T code)
        •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
        • 하기도 질환
        • 호흡계통의 질환
      • 단계별 교육(2012년 기본)
        • 15장 임신, 출산 및 산후기
        • 16장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
        • 6장 신경계통
        • 8장 귀 및 꼭지돌기의 질환
        • 7장 눈 및 눈 부속기의 질환
      • 단과과정
        • overview of urinary tract infection based on diagnostic coding(86차)
        • 퇴원손상심층조사 담당자 교육 다빈도 오류 사례 지침 해설(86차)
        • 코딩 audit을 통한 외래 경증질환 환자비율 감소(85차)
        • 진단코드 관리를 위한 진단 검사의 이해(85차)
        • 다양한 제도 및 지표에서 활용되는 진단분류 코드의 관리 전략(85차)
        • 진단검사의 이해(미생물 배양과 PCR을 중심으로)(84차)
        • Diarrhea, Infectious colitis, Non-infectious colitis(84차)
        • 진단검사정보를 이용한 진단코드 관리(83차 추계)
        • 결핵 분류 실무(82차춘계)
        • 결핵&잠복결핵감염 vs 비결핵항산균 폐질환(82차춘계)
        • 각 질환별 진단에 도움 되는 검사 항목들(82차춘계)
        • 검사 용어의 이해 - 재미있는 현미경 속 세상(80차춘계)
        • 패혈증 및 폐렴 질병코딩(80차춘계)
        • 신포괄지불제 기본과정 - 신포괄지불제의 개념 및 진단코딩 원칙(78차춘계)
        • 퇴원손상심층조사 코딩 Audit-주요 오류 사례(76차춘계)
        • 퇴원손상심층조사 코딩 Audit-주요 오류 사례
        •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개정에 따른 코딩지침서 주요 업데이트 내용(76차춘계)
        • 분류체계 변화 및 코딩 정확도 강화에 따른 대응전략(75차추계)
        • 제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주요 개정 내용(75차추계)
        • 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 질병코딩 지침서 개정 내용 소개(72차춘계)
        • ICD-11 개정 방향(2013)
        • 시술분류체계의 국내외 변화 동향에 따른 우리의 과제(2013)
        • KCD-8차 주요 지침 변경사항 및 관련 사례(87차춘계)
        • 심장질환의 질병 및 처치분류(87차춘계)
        • 급성 악화를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천식의 질병코딩 및 POA 분류(89차 춘계)
        • 급성 악화를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천식의 진단 및 처치(89차 춘계)
        • 뇌종양 관련 임상 지식(89차 춘계)
        • 산부인과 중증도 삭감사례 중심 POA정확도 관리
        • 산부인과 중증도 삭감사례 중심 POA 정확도 관리(90차 추계)
        • 손 굽힘근힘줄의 기타 봉합&엉덩관절 교체의 교정&힘줄의 기타 봉합(중급)
        • 기관지 흉막의 누공 수복(심화)
        • 건막류 및 발가락 기형의 절제 및 수복&광대뼈 골절의 관혈적 정복(중급)
        • 뇌내 혈종 배액(심화)
        • 전층 피부 이식술&유방절개술&코 골절의 비관혈적 정복술(중급)
        • 견갑골 골절&내부 고정장치가 동반된 골절의 관혈적 정복(중급)
        • 기타 단일 손가락의 외상성 절단&교차 손가락 피판술(중급)
        • 내측 반달연골의 찢김&무릎의 반달연골 절제(중급)
        • 뇌종양의 관자엽&머리뼈 골절 정복&머리뼈 성형술(중급)
        • 발의 후천성 변형(발목뼈 및 발허리뼈의 분리술)&비골 및 안와벽의 골절(정복술 및 코성형술)(중급)
        • 연구개 열상 봉합 및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(심화)
    • 학문체계(상시)
      • 데이터산업시대에 보건의료정보관리학 학문체계(86차)
      • 데이터 산업시대 한국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원의 역할(86차)
      • 건강보험청구(2020)
      • 의료정보기술(2020)
      • 의료의 질 관리(2020)
      • 보건의료통계학(2020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학(2020)
      • 보건의료 데이터 관리(2020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미래(2020)
    • 기타(상시)
      • 신포괄수가제도가 임상의무기록 관리에 미치는 영향 -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인식 중심으로(86차)
      •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소개 및 활용(86차)
      • 2022년 퇴원손상심층조사 담당자 교육과정 운영 성과 및 개선방안(86차)
      • 공공보건의료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강릉시민 보건의료 이용 현황 패널조사 연구(85차)
      • 퇴원손상심층조사 담당자 교육과정 운영 및 질 관리 지원 사업 - 질관리 소모임 중심(85차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연구방법론(2021)
      •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심사평가정보제출시스템 (HIRA e-Form) 연계(84차)
      • 쉽고, 빠르고, 안전한 심사평가정보제출시스템(84차)
      • 대한의무기록협회 역사(80차춘계)
      •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임무와 역할(80차춘계)
      • 복합질환 분류사업 소개(2023)
      • ChatGPT를 이용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인공지능 모델링과 조련방안(87차춘계)
      • 한국 병원의 주요 법정비급여 진료비 현황과 변이(87차춘계)
      • 출산 및 산후 합병증 행태의 특성과 변화 분석: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이용하여(87차춘계)
      • 의과 의료행위분류체계 도입 이슈와 과제(88차추계)
      • ICHI 기반의 한국건강행위분류체계(KCHI) 도입 계획(88차추계)
      • 개인정보보호 업무 현황 설문조사 결과 분석(89차 춘계)
      • 건강정보고속도로 시범사업 및 실손보험 자동청구에 따른 의무기록 및 제증명 연계 사례
      • ICHI와 ICD-11, ICF를 연계한 Case-mix 개발사례(90차 추계)
      • 분만 및 자궁절제술의 임상적 이해(90차 추계)
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큐레이션 온라인 교육과정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큐레이션 온라인 교육과정
    • 의료 빅데이터 큐레이션 재직자 전문인력 양성과정
      • 의료 빅데이터 큐레이션 재직자 전문인력 양성과정
    • ICD-11 매핑 스터디
      • ICD-11 매핑 스터디
    • KHIMA 오프라인 강좌
      • [5월28일(토)] 제86차 학술대회 녹화중계
      • [5월27일(금)] 제86차 학술대회 녹화중계
      • [5월26일(목)] 제86차 학술대회 녹화중계
      • 제84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온라인 녹화중계] 제84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온라인 생중계 / GS+S1] 제84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오프라인 교육 / S3+S4] 제84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오프라인 교육 / GS+T1] 제84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오프라인 교육 / GS+S2] 제84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오프라인 교육 / GS+S1] 제84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20년도 보건의료정보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신포괄 청구 및 실무 교육
      • 제83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19년도 상반기 보건의료정보관리 책임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신포괄 진단 코딩 및 실무 교육
      • 제82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18년도 하반기 보건의료정보관리 책임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제81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신포괄수가제 실무 교육
      • 제80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18년도 상반기 의무기록 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의무기록사를 위한 Tensorflow GUI 교육
      • 제79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17년도 하반기 의무기록 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2017년도 상반기 의무기록 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제78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16년 암등록 지침 기본교육과정
      • 2016년 하반기 의무기록 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제77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제3회 국제원사인분류 전문가/교육자 자격시험 및 교육
      • 2016년 상반기 의무기록 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제76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제75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신포괄수가 정보화가산평가 대비 코딩실무교육
      • 2015년도 하반기 의무기록(의료정보) 관리자 워크샵
      • 2015년도 상반기 의무기록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74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제3회 국제사인분류전문가자격시험 대비 교육
      • 2014년도 하반기 의무기록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제73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_질병분류 중급교육과정
      • 제73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주기 의료기관 인증 대비 의무기록사 교육
      • 2014년 제1차 의료기관인증교육
      • 제72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14년도 상반기 의무기록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2013년도 하반기 의무기록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제71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포괄적 개인정보보호 전략 교육
      • 포괄수가제와 의무기록 교육
      • 제70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13년도 상반기 의무기록 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[5/12(금)+S1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2(금)+S2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2(금)+S3/S4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2(금)+T1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3(토) 중소요양병원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2(금) S1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2(금) S2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2(금) S3/S4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2(금) T1] 제87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23년도 보건의료정보관리자 및 교수 워크숍
      • [일일+11/10(금)] 제88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일일+11/11(토) S1] 제88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일일+11/11(토) S2] 제88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11/11(토) S1] 제88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11/11(토) S2] 제88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(암등록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)[5/31(금)+T1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31(금) T1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31(금) S3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31(금) S2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31(금) S1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6/1(토) 중소요양병원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31(금) T1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31(금) S3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31(금) S2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31(금) S1] 제89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24년도 보건의료정보관리자 및 교수 워크숍
      • [일일+11/8(금)] 제90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일일+11/9(토)] 제90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] 제90차 추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큐레이션 워크숍 및 정책간담회
      • (암등록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)[5/16(금)+T1,S6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6(금) T1, S6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6(금) S4, S5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6(금) S2, S3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양일+5/16(금) S1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7(토) 중소요양병원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6(금)+T1, S6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6(금)+S4, S5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6(금)+S2, S3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5/16(금)+S1] 제91차 춘계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• KHIMA 온라인 강좌
      • 제86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온라인 생중계] 2022년도 보건의료정보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  • [양일등록]제85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11월 19일(금)/GS+S1]제85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[11월 20일(토)/S2+S3+S4]제85차 학술대회 겸 보수교육
      • 2021년 경기도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1년 서울시회 보수교육
      • 제84차 학술대회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온라인 녹화중계
      • 제84차 학술대회 온라인 생중계 교육에 대한 온라인 녹화중계
      • 2022년 경기도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3년 서울시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3년 충남도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3년 경기도회 보수교육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큐레이션 교육과정 실습 보고(제89차 춘계)
      • 2024년 서울시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4년 경기도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4년 충남도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4년 울산시회 보수교육
      • 2024년 전북도회 추계 보수교육
    • 암등록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보수교육
      • ICD-O-3 2nd 변경에 따른 암등록 실무(II)
      • ICD-O-3 2nd 변경에 따른 암등록 실무(I)
    • 정평원 교육
      • 제8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2년 제2차 중간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제11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2년 제1차 중간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3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5영역
      • 2023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4영역
      • 2023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3영역
      • 2023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2영역
      • 2023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1영역
      • 2023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보고서 작성법
      • 2022년 제2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제10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7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9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2년 제1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2년도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중간평가 설명회
      • 2022년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중간평가 설명회
      • 제6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8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2년도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설명회
      • 제5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7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6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1년 제2회차 평가인증 서면 및 방문평가 OT
      • 2021년 제1회차 평가인증 서면 및 방문평가 OT
      • 2021년 평가단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5영역
      • 2021년 평가단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4영역
      • 2021년 평가단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3영역
      • 2021년 평가단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2영역
      • 2021년 평가단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1영역
      • 2021년 평가단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보고서 작성법
      • 2021년 제2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1년 제1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제4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5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3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0년 제4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제4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0년 제3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0년 제2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「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예비평가」서면평가 대비 위촉평가위원 오리엔테이션
      • 위촉평가위원 서면평가 오리엔테이션
      • 「2020년도 평가단 심화교육」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: 5영역
      • 「2020년도 평가단 심화교육」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: 4영역
      • 「2020년도 평가단 심화교육」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: 3영역
      • 「2020년도 평가단 심화교육」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: 2영역
      • 「2020년도 평가단 심화교육」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: 1영역
      • 2020년도 제1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0년도 제1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설명회
      • (2일차)제2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2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 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2년 중간평가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3년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신규평가 설명회
      • 2023년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중간평가 설명회
      • 제12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13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9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3년 제1차 신규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3년 제1차 중간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3년 중간평가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3년 제2차 중간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제14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제15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1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4년 제1차 신규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제10차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2단계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[KAHIME-온라인강좌] 보건의료정보학 입문과정 - 파트1
      • [KAHIME-온라인강좌] 보건의료정보학 입문과정 - 파트2
      • 2024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보고서 작성법
      • 2024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1영역
      • 2024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2영역
      • 2024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3영역
      • 2024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4영역
      • 2024년 평가 심화교육 : 제1차 영역별 평가 심화교육 - 5영역
      • 2024년 제1차 중간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4년 신규평가의 중간평가 평가위원 교육
      • 2024년 제2차 신규평가의 중간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  • 2024년 제1차 2주기 정기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워크숍
    • 시도회 미취득평점 보완 교육
      • 신포괄 정보화 가산평가와 직무변화
      • 청구 질병코드 모니터링 지표 운영과 중소병원 적용 방안
      • 손상 중증도 분류체계 도입을 통한 의무기록사 역량
      • 분류체계 변화 및 코딩 정확도 강화에 따른 대응전략
      • e-health 시대의 의료정보관리
      • 진단코드 질관리 방안
      • 21_제9장 순환계통의 질환 (I60~I99)
      • 20_제9장 순환계통의 질환 (I00~I52)
      • 19_제4장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(E00~E90)
      • 18_제9장 순환계통의 질환(I60~I99) 뇌혈관질환 및 시술분류 사례
      • 17_제4장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(E00~E90) 갑상선 질환 및 시술분류 사례
      • 16_CDI 사례Ⅳ
      • 15_CDI 사례Ⅲ
      • 14_CDI 사례Ⅱ
      • 13_CDI 사례Ⅰ
      • 12_요양병원 건강보험 청구와 의무기록 정보관리 실무
      • 11_중소병원의 개인정보 보호
      • 10_중소병원에 적합한 의무기록 서식 제.개정 및 위원회 활동
      • 09_요양병원 의료기관 인증평가 기획과 사례
      • 08_요양병원 차등제 적용 기준과 환자평가표 관련 의무기록 관리
      • 07_주민등록번호 수집제한에 따른 중소병원 업무의 이슈와 대응방안
      • 06_전자서명과 이미지서명의 법률적 근거 및 적용
      • 05_진료기록 사본발급과 정정관리 실무
      • 04_동의서의 이해와 개발 시 고려사항
      • 03_의무기록 사본발급 질의 응답 사례
      • 02_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기본개요 및 이해
      • 01_DRG와 의무기록 질 관리
    • 대한보건의료정보관리사협회 웹세미나
      • [웹세미나] 2020년도 보건의료정보관리자 및 교수 워크샵
    • 기타 교육
      • 코로나19 입원환자 역학조사 교육
    • 대한의무기록협회
      • 73차 추계학술대회 강의
      • 72차 춘계학술대회 강의
      • 2013년 보충보수교육
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거버넌스 간담회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거버넌스 간담회
    • 급성중독환자조사
      • 응급실 내원 급성중독환자 심층자료조사
    •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
      • 암등록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
    • 72차 춘계학술대회
      • 질병 및 시술분류 실무
        •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(External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)
        • 호흡기계 질환 2(Disease of the respiratory system),(J00-J99)-하기도 질환-
        • 호흡기계 질환 1(Disease of the respiratory system)(J00-J99)-하기도질환-
        • 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 질병코딩 지침서 개정 내용 소개
      • 중소 및 요양병원 의무기록 정보관리
        • 요양병원 건강보험 청구와 의무기록 정보관리 실무
        • 요양병원 의료기관 인증평가 기획과 사례
        • 중소병원의 개인정보 보호
        • 중소병원에 적합한 의무기록 서식 제.개정 및 위원회 활동
        • 중소병원.요양병원 인증평가
      • 의무기록 정보관리
        • 임상콘텐츠모델(CCM)의 현장적용 및 활용방안
        • DRG와 의무기록 질 관리
    • 73차 추계학술대회
      • 온라인강의
    • 79차 추계학술대회
      • 민간보험회사에서의 의무기록사 역할 및 전망(79차추계)
      • 중소병원 원무 관리와 의무기록사의 업무 방향(79차추계)
      • 요양병원 2주기 인증평가 준비와 의무기록 사본 발급 시 유의사항(79차추계)
      • 보건복지부 최근 유권해석 설명(79차추계)
      • 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인증에서 의무기록사의 역할(79차추계)
    • 개인정보보호(상시)
      • 의료기관 개인정보 흐름분석과 영향평가(2013)
      • 의무기록 정보보호 가이드라인(2013)
    • 포괄수가제(상시)
      • 산부인과 및 외과 임상강의(2013)
    • 외부 평가 및 인증, 조사
      • 요양급여 적정성평가의 기본 개요 및 이해
    • 질병 및 시술분류
      • ICD-11
      • 시술분류체계의 국내?외 변화 동향에 따른 우리의 과제
    • 결핵조사
      • 결핵신고환자의무기록조사
    • 임시개설
      • ICD-11 참여자 교육(2017)
      • ICD-11 참여자교육_1차(2016.6.8)
      • 기타결제
      • 도서결제
      • 보건의료데이터 가명처리 실습(임시)
      • ICD-11 연구 교육(2024)
      • MIT의 데이터기반 AI 강좌 스터디
      • 큐레이션 심화과정 리뷰
    • 테스트
      • 설문조사 테스트
      • 2개 강의 추가
      • 큐레이션 테스트
    • 보충보수교육
      • 2013 민간경상보조사업
        •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분류 지침
        • 손상,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결과(T code)
        • 손상,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결과(S code)
        • 하기도질환
        • 호흡계통의 질환
      • 외부 평가 및 인증, 조사
        • 요양급여 적정성평가의 기본개요 및 이해
      • 질병 및 시술분류
        • ICD-11
        • 시술분류체계의 국내외 변화 동향에 따른 우리의 과제
      • 개인정보보호
        • 의료기관 개인정보 흐름분석과 영향평가
        • 의무기록 정보보호 가이드라인
      • 사본발급
        • 의무기록 사본발급 질의 응답 사례 Ⅰ
      • QI활동
        • QI활동 우수 사례
      • 2012 민간경상보조사업
        • 15장.임신, 출산 및 산후기
        • 6장.신경계통/16장.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병태
        • 7장.눈 및 눈 부속기의 질환/8장. 귀및 꼭지돌기의 질환
      • DRG 교육
        • 산부인과 및 외과 임상강의
    • DRG 교육
      • 코딩향상을 위한 임상기록 관리와 의사교육(전체과정)
      • 포괄수가제와 의무기록(전체과정)
      • 항생제의 치료 원칙
      • 감염증 및 항생제 치료
      • 신포괄수가제에서의 임상진단기록의 중요성
      • Disease Staging 개념과 주요질환의 진단기준
      • CDI[Clinical documentation Improvement]
      • [묶음강좌]산부인과 및 외과 임상강의
      • 외과 임상강의
      • 산부인과 임상강의
      • 포괄수가제와 의무기록 코딩 원칙
      • DRG(포괄수가제) 운영 및 사례-7개 질병군 중심
      • 안과 및 이비인후과 임상강의
      • DRG와 의무기록 작성 관리
    • 사본발급
      • 의무기록 사본발급 질의 응답 사례 Ⅰ
    • QI활동
      • QI활동 우수 사례
    • 개인정보보호
      • 의료기관 개인정보 흐름분석과 영향평가
      • 의무기록 정보보호 가이드라인
      • 개인건강정보보호 2(건강정보보호 case study 및 Q&A)
      • 개인건강정보보호 1(개인건강정보보호법 의료계 적용 및 건강정보보호 실무)
      • 개인정보보호법
    • 민간경상보조사업
      • 2022년도 6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2년도 4-5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2년도 2-3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2년도 1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1년도 6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1년도 4-5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1년도 2-3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1년도 교육과정 테스트
      • 2021년도 1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0년도 6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0년도 4-5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0년도 2-3차 교육과정
      • 2020년도 1차 교육과정
      • 2019년도 기초교육 과정
      • 2018년도 기초교육 과정
      • 2017년도 기초교육 과정
      • 2016년도 기초교육 과정
      • 2015년도 기초교육 과정
      • 2014년도 기초교육 과정
      • 질병분류 예비교육강사 교수법 강좌
      • 2013년도 기초교육 과정
      • 질병분류교육 기초과정
    • 화상교육 신청
  • 자료실
    • 공지사항
  • 나의 학습방
  • 학습지원
    • FAQ
    • 공지사항
  • 로그인
  • 회원가입
  • 고객센터
  • 고객센터
  • 이용약관
  • 개인정보처리방침
사업장주소 :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8길 2, 4층 이메일 : khima@khima.or.kr 대표 : 백설경 대표전화 : 02-424-8514 사업자등록번호 : 105-82-07191 팩스번호 : 02-424-8518 ⓒ 2011 KHIMA. All Rights Reserved.